-
【일본어】아들바보, 딸바보는 뭐라고 할까요?일본 이야기/일본어 공부 2014. 5. 3. 08:00
【일본어】아들바보, 딸바보는 뭐라고 할까요?
▼ 읽기 전 추천 부탁드려요 ▼
한국사람도 대부분이 알고 있는 일본어 욕(?) 바카! 혹은 바카야로!
한국어로는 바보, 멍청이 처럼 번역이 됩니다만, 상황에 따라서는 귀여운 장난이 되기도 하지만 어쩔 때는 아주 심한 욕이 되기도 한답니다.
그런데, 이 '바카'가 부모님을 뜻하는 親라는 말과 합쳐진다니... '동방예의지국'에서는 상상도 못할...!!
'심한 부모님 욕이 되는 걸까?' 싶지만 정답은 NO!
이미 타이틀에서 공개된 것처럼 일본어 '오야바카(親バカ)'는 '아들바보, 딸바보' 처럼 '자식바보'라는 의미가 된답니다.
오야바카(おやばか【親馬鹿】)는 부모 + 바보라는 단어로 만들어진 합성어인데, 그 의미를 살펴보면
わが子かわいさのあまり、子供の的確な評価ができないで、他人から見ると愚かに思える行動をすること。また、その親。
우리 아이가 너무 귀여워서, 아이의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없어, 다른 사람에게는 어리석게 보여지는 행동을 뜻한다, 혹은 그런 부모.
아이를 너무 귀여워해서 뭐든지 오냐오냐 해버리는 행동이나 부모를 가리키는데, 한국에서 유행하는 말을 빌어, '아들바보 + 딸바보. 자식바보'라고 할 수 있겠네요.
하지만, 위의 일본어(일어 번역) 문장을 잘 보시면 아시겠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어리석고 바보처럼 보이는 좀 '지나침'을 뜻하므로
한국의 자식 바보라는 말보다는 안 좋은 뉘앙스를 갖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유는, 일본 문화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무척 중요시 하기 때문에, 아이들이 공공장소 등에서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걸 무척 심각한 문제로 생각합니다.
그런데 아이들이 이런 예의에 벗어난 행동을 하고 있음에도, 부모가 아이만을 챙겨서 지적하고 교육을 하지 않는다면 안 좋게 보이겠죠.
그래서 한국의 아들바보 보다는 조금 나쁜 의미를 갖는 '아이들 과잉보호' 의 의미로도 쓰입니다. 어쩜 그쪽에 더 가까울지도...?
그럼, 한국어와 똑같은 방법으로 아들바보, 딸 바보라고 하면 어떻게 될까요?
아들의 일본어인 바보 (馬鹿/ばか) + 무스코(息子/むすこ) = 바카 무스코(バカ息子) 가 되는데, 이 경우에는 정말 큰 의미 차이가 생깁니다.
바보 아들로, 아주 무식한 아들을 뜻한답니다. 주로 부모자식간에 싸울 때나 부모가 아이들 험담을 하는 경우에 나오죠.
일본 드라마에 보면 부자(父子) 갈등이 자주 그려지는데, 잘 들어보시면 종종 나올겁니다.
반대로, 딸일 경우에는 바카 무스메(バカ娘/ばかむすめ)가 되겠죠?
한국어처럼 일본어를 번역하면 전혀 다른 뜻이 되어버려, 상대방에게 실례가 될 수도 있으니 주의하세요.
재미삼아 구글 번역기에 '아들 바보'를 검색했더니 '무스코 바카(息子 バカ)'가 나오네요 ㅋ 이러면 아들 욕이 되서 큰 실례가 됩니다.
참고로, 일본어로 ばか는 욕이 되는데, 조금 순화해서 정중하게 바보라고 욕(?)을 할 때는
경어인 오(お)를 붙여 오바카(おばか) 혹은 오바카상(おばかさん) 이라고 하기도 하며,
요즘에는 텐넨(천연/天然/てんねん) 혹은 영어로 '순수'를 뜻하는 Pure를 써서 퓨아(ピュア)라고도 한답니다.
일본에서는 약간 엉뚱하고 멍한 듯한 바보 캐릭터(天然キャラ/天然ボケ/天然娘)도 인기 있는 편입니다.
제가 요즘 시아의 매력에 좀 푹 빠져서, 좋은 의미의 '오야바카' 라는 소리 좀 듣고 살아서 한번 정리해 봤습니다 ^^
'일본 이야기 > 일본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돌아오다'의 뉘앙스 차이 (4) 2014.05.24 【일본어】'지옥귀(地獄耳)'는 어떤 사람? (4) 2014.05.10 【일본어】'속이 안좋아요' 는 뭐라고 할까? (8) 2014.04.26 일본어 공부, 후리가나 달아주는(입력) 사이트 (0) 2014.04.20 【일본어】'알다(わかる)'는 한자가 3개나 있어요 - 일본어 뉘앙스 차이 (6) 2014.04.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