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정보/한국&한국어
-
【설날】설날에 대한 궁금증에 대한 모든 것TIP&정보/한국&한국어 2014. 1. 31. 08:00
설날에 대한 모든 것 총정리 드디어 아기다리고기다리던 설날입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몇번을 말하는거야~!! 하지만, 처음 오신 분도 계실테니까 ㅎㅎ)지난 '까치 설날'의 유래에 이어, 오늘도 설날에 대한 모든 것을 낱낱히 파헤쳐보겠습니다! 2014/01/30 - [TIP/정보/한국/한국어] - 【설날】왜 설 전날을 '까치설날' 이라고 할까? 한국어 선생님을 하려면 이런 저런 한국에 대한 정보를 많이 알아야하거든요~ 공부도 할 겸, 겸사겸사~ ^^그런데 이렇게 알고보니 한국에 대한 애국심도 더 커지고, 몰랐던 지식도 얻고... 이 맛에 한국어 선생님 하나봐요~ 후훗!그럼 설날에 대한 모든 궁금증 해결을 위해 출발해봅니다~ ● 왜 '설날'일까? (설날의 어원)시작하면서 '설날'이라고 부르는 이..
-
【설날】왜 설 전날을 '까치설날' 이라고 할까?TIP&정보/한국&한국어 2014. 1. 30. 08:00
'까치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 이제 조금 있으면 설날입니다. 모두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저는 아무래도 이국땅 일본에서 설날을 맞이하게 될 것 같습니다. 가족 친척 친구들과 보지 못하는 아쉬움도 있지만, 할머니와 부모님께 인사드리지 못하고 손주를 못 보여드리는게 더 죄송스럽고 그렇네요. 그래도 요즘은 세상이 좋아져서 화상통화로 멀리서나마 화면으로 보여드려야겠어요. 시골이라 통신 상태가 좋지 않다는게 문제지만 ㅠㅠ 한국어 수업을 하다보면, 단순하게 언어만 가르치는 게 아니라 흥미 위주로 한국의 문화나 재미있는 이야기, 노래 등을 함께 알려주곤 한답니다. 설날이 가까워지면서 요즘 한국어 수업에서는 설날에 관련된 이야기를 자주 해주고 있는데요, 지난 수업에서 바로 이 노래를..
-
【한글】모자 쓴 동그라미? 외국인들 눈에는 너무 멋진 한글TIP&정보/한국&한국어 2014. 1. 7. 08:00
한글, 정말 몇번을 말해도 부족할만큼 잘 만들어진 훌륭한 우리 문자죠. 이렇게 외우기 쉬우면서 하고 싶은 말, 음을 다 쓸 수 있는 글자는 정말 찾기 힘들죠. 일본어를 공부하면서 한자가 왜 그렇게나 어렵던지... 일본어 히라가나 50개를 외워도 한자라는 높은 벽이 남아있으니... 그래도 다행이죠. 제가 지금 중국어를 공부하고 있는건 아니니...중국 한자는 보기만 해도 멀미가...ㄷㄷ2013/10/15 - [우리 이야기/내 이야기] - 【한글】한국에는 위대한 '한글'이 있다구!! 그런데 외국인들 눈에 한글은 어떻게 보일까... 일본인 직장 동료의 재미있는 말에, 일본인들에게 보이는 한글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예전에 오사카에서 빵 판매점에서 일을 하는데, 어느날 60대는 넘어보이시는 할아버지께서 가게..
-
【한국어】'이름씨'가 뭐에요?TIP&정보/한국&한국어 2013. 12. 29. 08:00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저 역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부끄러운 한국어 선생님입니다. 한국에 살면서 한국어, 한글을 쓰면서도 모르는 말도 많고, 정확한 원리나 규칙도 모르는게 많이 있었구나 하고 일본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많이 배우고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2013/08/08 - [TIP/정보/한국/한국어] - 【단위】이건 총 몇개? 바늘 한 쌈 + 한약 한 제 + 계란 한꾸러미 = ??2013/12/05 - [TIP/정보/한국/한국어] - 【속담】갈치가 갈치 꼬리 문다, 무슨 말일까? 얼마전에 한국어 수업을 하는데 학생 한명이 저에게 이런 질문을 해 왔답니다. "선생님, 이름씨가 뭐에요?""씨요? 씨는 사람 성(姓)을 말하는 거에요.""아니요. 그거 말구 '이름씨'가 뭐에요?"순간 흔들리는 제 눈동자와..
-
【속담】갈치가 갈치 꼬리 문다, 무슨 말일까?TIP&정보/한국&한국어 2013. 12. 5. 08:00
한국어를 가르치다보면 나도 몰랐던 한국어를 발견하고 배울 때가 있다. 그럴 때면 한국인이지만 한국어는 참 어렵구나 하고 다시금 느끼곤 한다. 그래도 이번엔 아주 재미있는 표현이 담긴 속담을 들어서 오래 기억될 것 같다. 얼마전, 수업을 하고 있는데 학생 하나가 '갈치'가 뭐냐며 질문을 해 왔다. 그러고보니 일본에서 갈치를 본 적이 없다. 그래서 갈치가 일본어로 뭐라고 하는지 조차 모르겠다. 아나고(장어) 같이 생기기도 했고, 일본의 꽁치(삼마 さんま)보다 길고... 결국 사전을 찾았더니 타치우오(タチウオ) 라고 한다. 그런데 학생들한테 말을 해줘도 뭔지 잘 모르겠다고 한다. 요리를 즐겨하는 여자들이고 베테랑 주부도 있는데 말이다. 결국 사진을 보여주기로 하고 검색을 했더니, 이게 뭐냐며 징그럽게 생겼다며..
-
【성씨】한국 성씨 탄생의 비밀TIP&정보/한국&한국어 2013. 11. 12. 08:00
▼ 읽기 전 추천 부탁드려요 ▼ 조선초만해도 성씨있는 양반은 10%뿐이 안되었는데 조선중기 양반계급이 족보를 가지게 되면서 부터 평민들도 각 씨족 별로 구전 해오던 자료에 의하여 족보를 만들기 시작하였고 토착민들은 지역별 연결에 따라 동일 씨족으로 족보를 가지게 되었다. 집성촌을 이루지 못하고 생활한 유랑민이거나 원래 천민은 성씨없이 돌쇠,떡쇠, 개똥이, 삼돌이 등 이름으로만 불리웠는데 조선후기에는 양반들의 도움으로 성 하나 만은 가지게 되었고.1909년 일제가 민적법 시행시 성씨가 없던 천민들에게 다시 원하는 성씨의 호적을 일제가 주었는데, 그 때 가장 인기 있던 성씨가 흔하면서도 유명한 "김, 이, 박 등등"이었다. 그래서 유명한 성이 더욱 흔해지게 된 것이다. 일제가 성이 없던 밑바닥 천민(노비)계..
-
【독도의날】독도를 아는 것이 독도를 지키는 것이다! - 10월 25일은 독도의 날!TIP&정보/한국&한국어 2013. 10. 26. 08:00
독도(獨島) 독도. 한자를 풀어쓰면 외로운 섬이라는 뜻인데, 그 이름때문일까? 정말 독도는 슬프고 외롭다. 한국의 원래 이름 독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는 타케시마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서로 자기땅이라고 국제 싸움의 장소가 되어 있으니 말이다. 어제 10월 25일은 독도의 날이다. 1900년 고종황제가 대한제국칙령 제41호에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명시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다.대내외적으로 일본의 영유권 야욕으로부터 독도 수호 의지 표명 및 대내외적으로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천명하기 위하여 제정한 날이다.독도의 날에 대한 스타들의 개념 발언도 화제가 되고 있는데, 이외수, 샘 해밍턴, 백성현, 김신영 등이 SNS로 개념 발언을 했다. 이외수 - 일본은 세슘에 초밥 말아 먹는 소리 ..
-
【역사】한국사를 배워야 하는 이유 -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TIP&정보/한국&한국어 2013. 10. 8. 08:00
제가 일하고 있는 회사의 일본인들 중에는 한국사에 관심이 있는 일본인들이 더러 있습니다. 지난번에 올바른 역사관을 갖고 있는 나이가 지긋한 직장 동료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지난글 바로가기 : 【역사】일본인 직장 동료의 개념있는 역사 발언 이번엔 또 다른 역사를 부전공으로 공부한 일본인과의 대화에서 스스로를 반성하며 한국사를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게 한 일이 있어 이 글을 보는 다른 분들도 한국사 공부를 소홀히 하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 글을 써 내려갑니다. 먼저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저는 '한국어' 뿐만 아니라 '한국'에 대해서도 많이 알아야 합니다. 학생들이 한국어를 공부하는 이유는 한국에 관심이 있기 때문입니다. 처음 시작하는 계기는 KPOP, 한류 스타, 드라마, 여행 등 다양할지 모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