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로그] 간단히 웹사이트에 구글 번역기 적용 방법TIP&정보/각종 TIP 2017. 9. 6. 09:00
[블로그] 간단히 웹사이트에 구글 번역기 탑재하는 방법
대부분의 블로그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로 포스팅을 한다.
하지만, 간혹 외국인을 대상으로 포스팅을 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외국인이 한국 생활에 도움이 될만한 정보 등을 제공할 때..
글 자체를 한국어 + 일본어, 한국어 + 영어 로 포스팅을 하는 블로거도 종종 볼 수 있다.
각 블로그를 운영하는 목적이나 대상 타겟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그럴 경우에는 모든 언어로 글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주요 방문자가 되는 분들의 언어로 작성을 하고, 그 외 국가에서는 구글 번역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내가 쓴 글을 다른 나라 언어로 번역을 해주는 간편한 툴이 있다.
간단한 드롭박스만을 가지고, 웹 사이트 전체를 번역해서 볼 수 있게 해준다.
'구글 무료 웹사이트 번역기 플러그인'
이 플러그인을 설치하게 되면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드롭박스가 노출되며,
해당 드롭 박스에서 원하는 언어를 선택해 주면, 해당 언어로 자동 번역이 된다.
원하는 언어 몇가지만 노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간단하고 간편하게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아래 링크를 통해 Google 번역 사이트로 접속한다.
그 다음 좌측 하단에 있는 '무료 웹사이트 번역기'에서 '시작하기'를 클릭한다.
그 다음 웹사이트에 지금 추가를 눌러 몇가지 설정을 한다.
순서대로 3단계만 완료하면 되는데,
웹사이트 정보, 플러그인 설정, 플러그인 추가에 대해 알아보자. 웹사이트 정보에서는 웹사이트 URL과 원래 기본 언얼르 선택하자.
http://를 제외하고 www. 혹은 www가 없는 URL을 그대로 입력해주면 된다.
psia.tistory.com 과 같이...
그리고 기본 언어는 한국어 (타 언어로 작성을 한다면 해당 언어를) 선택해 주자.
플러그인 설정은 세부 설정에 해당되는 내용인데, 항목이 많지는 않다.
순서대로 '번역 언어'는 모든 언어로 번역할지, 특정 언어를 선택할지를 고르면 된다.
모든 언어를 선택하면, 약 100여개 언어로 번역을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언어를 선택하면 내가 직접 고를 수 있다.
현재 시아아빠 블로그에는 주요 언어 몇가지(영어, 일본어, 중국어) 만 선택해두었다.
그리고 표시 모드에서는 표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데,
어떤 식으로, 어떤 위치에 노출할 건지 선택할 수 있다.
각 항목을 선택하면 우측에 샘플 이미지가 나오므로, 내가 원하는 방식을 선택해주면 되겠다. 그리고 고급 항목이 3가지 있는데,
1. 페이지에 표시된 언어와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해 자동으로 번역 배너 표시
다른 언어의 이용자가 접속하면 자동으로 번역 배너를 표시해주는 기능으로 체크하는 것을 추천한다.
2. 페이지에 다국어 콘텐츠가 있음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기본적으로 번역기를 설치한다면,
다국어 콘텐츠가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체크를 하도록 하자.
3. Google 애널리틱스를 사용하여 번역 트래픽을 추적
Google Analytics를 이용한다면 함께 사용하길 추천한다.
구글 웹로그 추적기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통해 지난 글에서 확이할 수 있다.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코드 받기 버튼을 눌러주자.
그러면 <div id = 으로 시작되는 코드가 발급되고,
이 소스코드를 원하는 곳에 넣어주면 해당 위치에 번역기 버튼이 생성된다.
티스토리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HTML/CSS 편집 또는 사이드바를 통해서 적용할 수 있는데,
본 글에서는 간단하게 적용하기 위해 사이드바를 활용한 방법을 소개한다.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모드에서 꾸미기 > 사이드바 를 선택한 뒤,
기본 모듈에 있는 '태그 입력기'를 선택해주자.
태그 입력기 옆에 +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태그 입력기가 추가되는데,
편집 버튼을 눌러서 이름에는 '구글 번역기' 와 같이 임의로 작성하고,
치환자 부분에 조금 전에 가져온 소스 코드를 붙여넣어 주면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우측 상단에 있는 '저장' 버튼을 누르는 걸 잊지 말자!!
다음과 같이 블로그 사이드바에 구글 번역기가 제공되고,
드롭 박스를 눌러보면 설정해둔 언어가 노출된다.
100개를 하면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필자는 주요 언어 몇가지만 심플하게 적용했다.
그리고 일본어를 적용한 화면을 보면, 그럭저럭 나쁘지 않게 번역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내 블로그, 웹사이트를 다국어 지원 사이트로,
글로벌한 사이트로 만들 수 있는 간편한 번역 플러그인 기능.
자신의 운영사이트에도 활용해 보도록 하자!
'TIP&정보 > 각종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TIP] 전원 버튼에 숨겨진 비밀 - 대기전력, 전기세 절약 방법 (0) 2018.10.18 2018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신청 방법 (0) 2018.04.30 [정보] 자동차세에 포함된 교육세의 진실은? (0) 2017.08.03 블로그를 할때 유용한 단축키 - 1편 (0) 2017.07.17 [정보] 2017 근로, 자녀장려금 받아가세요~~ (0) 2017.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