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로그】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웹로그(애널리틱스) 설치 방법TIP&정보/블로그 운영 2014. 3. 16. 08:00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웹로그(애널리틱스) 설치 방법
내 블로그에 어디서, 어떻게, 얼마나, 어떤 환경으로 접속했는지 등등의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궁금하시죠?
제 지난 포스팅 중에 캐나다 토론토에서 방문자가 이상하게 많다고 글을 올렸던 적이 있죠? 그것도 애널리틱스로 분석됐던 내용이었답니다.
어떤 분들이 들어오셨고, 어떤 이유에서 그렇게 방문을 하게 되셨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
이렇게 방문자들이 블로그에 어떻게 어떤 목적으로 찾아왔는지를 알고, 앞으로의 포스팅에 조금 더 질 높은 또는 방문자의 목적에 맞는 글을 쓸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그렇게 블로그 방문자의 성향 분석을 도와주는 프로그램, 구글 웹로그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입에 닳도록 말하고 있지만, 역시 티스토리의 소스 수정은 티스토리 블로그를 이용하는 가장 큰 매리트 중에 하나인 것 같습니다.
그런 매리트를 누릴 수 있는만큼 최대한 누리는게, 티스토리를 이용하는 블로거로써 해야할 일이겠죠?
언제나처럼 설치 방법은 무척 간단합니다. 가입하고 소스 발급받아 붙여넣기만 하면 되거든요~ 겁먹지 마시구 따라오세요~ ^^
먼저 구글 웹로그 애널리틱스에 대해서 위에서도 간단히 설명했지만 좀 더 자세히 무엇을 하는 것인지 알려드릴께요.
방문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블로그에 찾아온 방문자들의 환경이나 목적 등을 파악하는데 용이한 프로그램으로써,
구글 애널리틱스로 분석 가능한 내용은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기간 중 방문자수, 순수 방문자/재 방문자, 페이뷰수, 자주 찾은 페이지, 페이지 열람수, 평균 방문시간, 접속 국가, 이용 브라우저, 운영체제 등등
방문자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분석가능하답니다. 신기하기도 하고 무섭기도 하죠? 내 정보들이 이렇게 보여지다니!! 하구요...
대부분의 큰 사이트에서는 이런 로그 정보들이 기록되고 있답니다. 하지만, 접속 환경에 대한 정보만 분석 가능니 개인 정보는 유출되는게 아니니까 겁먹지는 마세요~
실제 티스토리 뿐만 아니라 블로그에서는 간단한 접속 로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티스토리의 경우 관리자모드의 플로그인 설정에 보면, '유입 키워드, 유입 경로, 방문자 통계, 검색어 통계'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정말 기본적인 방문자의 최소 정보를 공유해 주는 셈이죠. 이점은 네이버나 다음 블로그도 비슷할겁니다. 네이버쪽이 로그 내용은 좀 더 많은 것 같더라구요.
아무튼, 이런 기본 제공되는 로그 정보의 좀 더 상세한 내용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언제나처럼 말이 좀 많아졌는데, 이제부터 웹로그를 블로그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하겠습니다.
ⓐ 가입하기
먼저 이용을 위해서는 구글 애널리틱스에 가입을 해야합니다. 기존에 구글 아이디(지메일 계정)를 가지고 계시는 경우에는 로그인 후 신청도 가능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 http://www.google.com/analytics/
위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아래쪽 배너에 간단한 설명이 있으니 그걸 읽어보시면 무얼 하는 프로그램인지 간단하게 알 수 있을 거에요.
회원 가입을 위해서는 우측 상단에 있는 '로그인 또는 계정 만들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동의 및 항목을 입력하고 가입을 하신 뒤, 'Google 웹로그 분석 시작하기' 에서 '가입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 설정하기
가입하기 버튼을 누르면 이용하고자 하는 사이트 및 제공 로그 정보 등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범용 웹로그 분석 (BETA) 와 기본 웹 로그 분석 두가지가 있는데,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기에 범용을 선택합니다.
사이트 URL 입력 및 원하시는 설정을 선택하신 뒤, 맨 아래 있는 '추적 ID 가져오기'를 눌러줍니다.
설정은 차후에 변경 혹은 추가 작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너무 고민하지 마시고 설정하셔도 좋습니다.
ⓒ 코드 추가하기
'추적 ID 가져오기'를 선택하면 추적 ID와 추적 소스 코드가 나올겁니다. 나온 코드를 모두 선택하여 복사(CTRL + C) 해주세요.
혹시라도 복사하지 못하고 넘어가셨다면 구글 웹로그 페이지 > 관리 > 속성 > 추적 정보 > 추적 코드 에서 다시 확인(재발급)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이 코드를 티스토리 블로그에 붙여넣어주면 된답니다.
티스토리 관리자모드 > 꾸미기 > HTML/CSS 편집 > skin.html
뭔가 소스가 복잡하게 있지만 우리가 넣어줄 곳은 무척 간단하답니다. 검색 기능(CTRL + F)을 이용하여 </head> 로 검색합니다. 이 곳 바로 위에 넣어주세요.
한가지 팁이라면, 이렇게 추가된 코드는 나중에 수정하거나 삭제할 때 알아보기 쉽도록 주석처리를 해주는게 좋습니다.
<!-- GoogleAnalytics 추적기 시작 -->
위와같이 <!-- 로 시작해서 --> 로 끝나는 구간 사이에 있는 값은 블로그 내에는 노출되지 않으며, 오직 이 화면에서 관리자만 볼 수 있답니다.
추가하는 코드가 있다면 다음 관리를 편하게 하기 위해서 주석 처리를 꼭 해두시는 게 좋습니다.
ⓓ 웹 로그 분석 확인
코드를 사이트에 적용하고 정상적으로 반영이 되면, 웹 로그 분석이 가능합니다. 물론 반영되기까지 약간의 시간은 걸리겠죠?
코드가 정상적으로 적용이 되고 설치되었다면, 구글 애널리스틱 페이지에 가면 방문자 정보를 살펴보실 수 있답니다.
원하는 기간 동안의 방문자 분석 정보를 상세하게 얻을 수 있습니다.
구글 웹 로그는 블로그 및 사이트를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무척 유용합니다.
신규 방문 비율을 보고 내 블로그에 자주 찾아주는 방문자가 얼마나 되는지 가늠해 볼 수도 있으며, 날짜 및 기간 별로 그래프를 이용하여 쉽게 파악할 수도 있으며,
평균 방문당 페이지수로 컨텐츠의 양을, 평균 방문 시간으로 포스팅의 질 등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블로그의 관리 및 앞으로의 포스팅 방향에 대해서 도움이 되죠.
또 자세하게 다른 기능을 살펴보면, 어떤 페이지를 보면서 계속 이동했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어, 블로그 내 이동 경로 등도 파악이 가능하답니다.
조만간에 구글 웹로그 애널리틱스 사용 방법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보다 나은 블로그 관리를 위한 웹로그 사용 추천합니다~
'TIP&정보 > 블로그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리얼센스/스폰서애드 한달간 블로그 수익 보고 (0) 2014.03.23 【티스토리】내 블로그가 공격 사이트 보고!? - 원인 파악과 해결 방법 (8) 2014.03.17 【스폰서애드】블로그 수익 광고 - 스폰서애드(Sponsor AD) (12) 2014.03.09 【블로그】수익 광고를 애드센스에서 스폰서애드/리얼클릭으로 변경 (2) 2014.03.02 【애드센스】티스토리 블로그, 본문 상단 구글 광고 넣기 (2) 2014.02.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