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7회 613 지방선거 투표방법 총정리(종합 정보, 후보 확인, 공약 확인, 후보자 검증, 사전투표장소)이슈/핫 이슈 2018. 6. 5. 13:14
제7회 613 지방선거 투표방법 총정리
(투표방법, 사전투표장소, 공약 확인, 후보자 검증)
2018년 6월 13일, 제 7회 지방 선거가 실시 됩니다.
아름다운 선거. 행복한 우리동네 라는 슬로건과 함께 본격적으로 지방 선거가 시작됐습니다.
지난 촛불 혁명 이후, 정치에 대한 관심도 올라가서 투표율이 많이 올라갔습니다.
지난 19대 대통령 선거때는 투표율이 77.25%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매년 지방 선거 또는 국회의원 선거는 투표율이 50% 정도로, 지난 지방 선거는 58% 였습니다.
올해는 더 많은 분들이 지방 선거에 참여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지방 선거의 후보자 등록이 마감되고, 지방선거 투표용지 인쇄가 들어갔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지방 선거는 보통 7개의 선거가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교육감,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지역구 광역의원, 비례대표 광역의원, 지역구 기초의원, 비례대표 기초위원을 선출합니다.
말이 좀 어려워서 그렇지, 시 교육감과 시장, 구청장과 의회의원 2명과, 비례대표 2명을 뽑는 선거입니다. 왜 이렇게 한번에 많이 하는가 하면, 각각 따로 하면 선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국민 세금으로 하는 선거인데, 돈이 많이 들어가면 세금이 높아지니까요.
그런 이유로 묶어서 하는 것이고, 같은 이유로 이번에 헌법 개정 찬반 투표도 함께 하려고 했지만, 결국 무산됐습니다.
투표를 7개나 하다 보니까 헷갈리기 쉬운데, 본인이 어떤 투표를 하면 되고, 또 어떤 후보자가 있는지 쉽게 확인, 검색할 수 있습니다.
1. 포털 사이트 (네이버, 다음 등)에서 지방 선거로 검색
※ 다음(Daum.net)에서는 '내선거'로 검색하면 선거지역의 후보자 확인가능 (지역 설정 처음 1회 필요) 2. 본인이 거주하는 시, 구, 동을 선택
3. 해당되는 7개 선거의 후보가 출력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에 출마한 후보 번호, 이름, 소속 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국 광주 지역은 자유 한국당, 바른 미래당이 대부분 불출마를 했군요.
자유 민주주의에서 많은 당이 정책과 방향 등을 놓고 자유롭게 경쟁하고,
그 중에서 개인이 생각하는 바와 가장 부합되는 당이나 후보를 선택할 수 있을 때,
정말 행복한 시민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런 점에서 무척 아쉽습니다. 후보자의 공약, 검증, 납세, 여론조사 등의 결과는 중앙선거관리 위원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지방선거에 맞춰, 선관위 홈페이지도 리뉴얼이 됐습니다.
아래 중앙선거 관리 위원회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우측 주요 선거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중앙 선거 관리 위원회 홈페이지 : http://www.nec.go.kr/vt/main.do
홈페이지 좌측에 있는 빠른 검색에서는 주요 선거 정보 전반을 확인할 수 있는데, 간단하게 어떤 내용을 볼 수 있는지 설명드릴께요.
1. 후보자 등록 현황 : 후보자의 직업, 학력, 경력, 재산, 납세, 병역, 전과기록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우리동네 공약지도 : 주요 이슈 키워드를 볼 수 있는 빅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어르신, 장애인 투표 안내 : 음성, 수어(수화), ARS, 그림 등으로 간편하게 투표 방법을 안내합니다.
4. 선거 사무안내 : 정당, 후보자를 위한 선거 사무 안내서 파일 다운로드 5. 후보자 5대 공약 : 시도지사 후보자들이 제출한 5대 공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정당 10대 공약 : 소속 정당에서 제출한 정당 정책 및 공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선거 여론조사 : 중앙 선거 여론조사 심의 위원회에 등록된 여론 기관의 조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선거에서는 선관위에 등록되지 않은 여론 조사 결과를 가지고 기사나 댓글 등으로 배포하는 경우가 있는데
모두 처벌받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리트윗, 쉐어(Share) 만으로도 처벌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8. 한국 선거방송 : 선거방송 관련 방송 영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선거일이 평일이다보니, 공휴일로 지정이 되도 참석하기 어려운 분들이 계실 수 있어 사전 투표가 가능합니다!
사전 투표는 6/8(금), 6/9(토) 2일간 아침 6시~18시까지니까 꼭 투표에 참석하시길 바랍니다. 주의하실 점은, 사전 투표 장소를 꼭 확인하셔야 해요. 동사무소가 아닌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또, 관내 선거인과 관외 선거인의 선거방법이 조금 다릅니다. 관외 선거인의 경우, 회송용 봉투를 수령하게 되는데,
투표가 끝난 후에 선거용지를 회송용 봉투에 넣어서 제출하면, 선거후 해당 지역구에 발송된다고 합니다.
사전 투표 장소는 중앙 선거 관리 위원회 사전 투표소 검색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타고 들어가서, 본인이 거주하시는 또는 투표 가능한 지역의 읍, 면, 동 을 검색하시면 됩니다.
http://info.nec.go.kr/bizcommon/popup/popup_search_prevote.xhtml
간단하게 지방 선거에 대해 투표 방법, 검색 방법, 사전 투표 장소까지 확인해 봤습니다.
저는 누군가로에게 선거 독려 라든지, 정보 공유라든지 해달라는 부탁이나 지시를 받은 것 없이,
정말 우리 나라의 미래를 위해 많은 분들이 투표에 참여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이 글을 작성했습니다.
이 글을 보시고, 공유하거나 퍼가셔도 좋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전달되어 더 많은 사람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대한민국 화이팅!!
'이슈 > 핫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디즈니 캐릭터의 생일은 언제? (2탄) (0) 2018.09.13 [정보] 디즈니 캐릭터의 생일은 언제? (1탄) (0) 2018.09.11 【웃긴글】드래곤볼 캐릭터 작명 센스 & 유래 (0) 2017.08.16 [이슈 사진 모음] 세계에서 가장 섹시한 수학 선생님의 정체는? (0) 2017.06.12 독일 베를린 테러, 페이스북 안전 확인 기능 활성화 (0) 2016.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