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정보】우리는 교통 요금을 손해보고 있다! - 한국과 일본의 정기권 비교!일본 이야기/일본 정보 TIP 2013. 11. 14. 08:00
일본은 자가용보다 대중교통을, 그 중에서도 전차를 많이 이용합니다.
근거리 이동할때는 자가용을 이용하지만, 장거리 여행이나 가족 여행에도 자가용보다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가격도 저렴할 뿐더러 지정석이 있어 편리하기도 하기 때문이죠. 특히 통학, 통근에는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일본에서 그런 대중 교통을 이용할 때 꼭 필요한 팁을 하나 소개하려 합니다.
※ 일본 대중 교통 이용 방법에 대해서는 지난 글을 참고해 주세요.
지난 글 바로가기 : 【대중교통】일본 버스/지하철 이용하는 방법
엄청 간단하고 간편하면서도 절약이 되는 방법인데요. 그것은 바로
정기권!
한국 서울 지하철 메트로에서도 정기권은 이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실제 알고 있는 분도 적고, 사용하는 분도 적은 것 같습니다. 왜 그럴까요??
-
정기권
정기권카드를 구입(판매가격 2,500원)하여 원하는 종류의 정기권 운임을
충전하여 사용
사용기간 : 충전일부터 30일이내 60회까지
30일이 경과하였거나 60회를 모두 사용한 경우, 기간이나 횟수가 남아있더라도
사용불가정기권 종류 및 운임
종류 운임 및 사용구간 서울전용 * 운 임 : 46,200원(교통카드 기본운임(1,050원 × 44회)
* 사용구간 : 서울지하철 1~9호선(7호선 까치울 ~ 부평구청 구간 제외) 및 한국철도공사구간 중 서울~금천구청, 서울~수색, 구로~온수, 용산~왕십리 경유~도봉산, 왕십리~복정 구간, 중랑~양원 구간, 공항철도 김포공항 ~ 서울구간 [서울전용 정기권]으로 서울 전용 사용구간 외(서울시계외)의 역에서는 승차불가
한국철도공사 [분당선]"모란역"은 서울전용 사용구간이 아님거리비례용
(14종)ㆍ운임 : 종별 교통카드운임*44회*15%할인한 금액으로 발행, 1,050~1,250원 구간은 1,050원*44회
가 적용
ㆍ사용구간 : 수도권전철 전 구간에서 종별 운임수준에 따라 사용
정기권 종별
교통카드
운임(원)종별
(단계)운임(원) 이용거리 1 46,200 20km까지 1,250 이내 2 50,500 25km까지 1,350 3 54,200 30km까지 1,450 4 58,000 35km까지 1,550 5 61,700 40km까지 1,650 6 65,500 50km까지 1,750 7 69,200 60km까지 1,850 8 72,900 70km까지 1,950 9 76,700 80km까지 2,050 10 80,400 90km까지 2,150 11 84,200 100km까지 2,250 12 87,900 110km까지 2,350 13 91.600 120km까지 2,450 14 95,400 120km초과 2,550 ~ ※ 서울전용 정기권은 지정된 사용구간 외의 역에서는 승차할 수 없습니다.
지정된 사용구간 초과시 잔여횟수에서 추가로 차감됩니다.
※ 단계별 운임적용 거리 (서울전용은 서울시 경계역으로부터 서울시계외 방향으로 20Km)까지 마다 1회
※ 반환 시에는 잔여일수와 잔여횟수를 적용, 산출한 금액 중 적은 금액으로 반환 합니다.
(단, 불량카드는 사용횟수 적용)
※ 카드 판매대금은 반환하지 않습니다. 단, 최초 구입 후 1년 이내에 발생한 불량카드는 판매대금을 반환 합니다.
(고객부주의로 인한 경우 제외)
※ 승차권에 승차인원을 기재한 것을 제외하고는 1매의 승차권은 1인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거리비례제 6단계(65,500원)이상 정기권은 신분당선 이용시 별도의 추가차감 없이 이용 가능
※ 서울전용 및 거리비례제 5단계이하 정기권은 신분당선 승차불가. 단, 신분당선 하차 또는 환승은
허용하되 수도권 정기권 횟수차감 기준 외에 별도1회 추가차감
※ 정기권, 1회권으로 다음의 구간은 갈아타실 수 없습니다.
- 1,4호선 서울역 ↔ 공항철도, 경의선 서울역
- 1호선 노량진역 ↔ 9호선 노량진역
출처 : http://www.seoulmetro.co.kr/page.action?mCode=A050060000&cidx=602
거리 비례제는 무슨 말이며, 승차 불가 구간이 잘 파악이 안되고, 사용기간+사용 횟수로 번거로움 등의 문제로
계산 방법이 복잡하고, 이용이 불편하며, 가장 큰 문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즉, 절약을 위해 다소 불편함을 감수해야한다는 말이 됩니다.
하지만, 일본은 다릅니다. 한번 자세히 이야기 해 볼게요.
일본에서 정기권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이런 종이를 하나 작성하게 됩니다. 간단한 개인 정보와 이용 구간, 이용 기간 등을 작성합니다.
보시다시피 거리 비례제 등이 아닌 이용하실 구간을 입력하면 됩니다. 그 이용 구간 내에서는 기간 동안에 몇번을 탑승하셔도 무료입니다.
예를 들어 A역부터 H역까지라고 한다면, B~D까지나 C~H 등 그 사이의 역에서는 어디서 타고 어디서 내려도 무료입니다.
물론 횟수 차감도 없습니다. ※ 한국은 약 60회의 횟수 제한이 있다고 합니다.
가격은 한국과 비슷하게 약 20일 정도의 일반 운임비와 비슷합니다. 주 5일 근무라고 하면 약간 절약되는 정도겠네요.
하지만, 그 구간 사이에서도 공짜가 되기 때문에 구간내에서 친구와 약속 등이 있으면 절약이 되니까 사람에 따라선 그 이상일 수도 있겠죠?
일본 유학, 워킹 홀리데이 등으로 장기 체류..아니 1개월 이상 체류하실 경우에도 정기권을 이용해 보세요~
간편하고 편리하며 절약까지 되는 정기권! 좋아요~~
■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아래 손가락 한번 눌러주세요~ ■
'일본 이야기 > 일본 정보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정보】일본의 집세 제도에 대해서 (2) 2013.12.20 【일본정보】일본에서 일자리 구하는 방법 3가지! (8) 2013.11.17 【일본정보】일본 국민연금과 후생연금 (14) 2013.11.10 【정보】외국으로 이사가고 이사올때, 귀국이사의 모든 것! (1) 2013.11.08 【일본정보】일본의 출산 장려금과 육아 지원금 (0) 2013.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