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송미술관】훈민정음을 지킨 간송 전형필 선생!이슈/기타 2013. 9. 7. 08:00
국보 70호 훈민정음 해례본이 소장된 곳이 어디인지 아십니까??
얼마전 한국 퀴즈 관련 업무가 들어왔답니다.
역시 한국어 퀴즈 문제이기 때문에 가끔 한국사 문제나 문화에 대한 문제가 섞여 있어 그 난이도를 체크하는 문제인데요, 그 중에 한 문제!
국보 70호 훈민정음 해례본, 단원 김홍도의 월하취생 등의 작품을 소장한 곳은 어디인가?
최근 해를 품은 달(해품달)로도 인기가 되었던 훈민정음 관련된 문제인데요,
현존하는 훈민정음 해례본이 소장되어 있는 곳. 여러분은 아시나요??
정답은 간송미술관 입니다.
'간송미술관? 들어본 적이 없는데 어디에 있는거지?' 하는 생각에 찾아보기 시작했습니다.
찾아보면서 저의 무지에 대해 반성하는 소중한 시간이 되었답니다.
간송 미술관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사립박물관으로 북단장(北檀莊)이라 부르는 곳에 고 전형필(全鎣弼)선생이 1938년에 설립하였습니다.
미술관의 중심건물인 보화각에는 전형필 선생이 평생동안 수집한 문화재가 소장되어 있는데,
국보 및 보물급 등의 문화재를 다수 소장하고 있는 세계적인 한국 미술품 소장 미술관이랍니다.
주요 소장품으로는
『훈민정음』(70호), 『동국정운』권1,6(71호), <금동계미명삼존불>(72호), <금동삼존불감>(73호), <청자압형수적>(74호), <청자기린유개향로>(65호), <청자상감포류수금문정병>(66호),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149호), 혜원 신윤복의 <쌍검대무>(135호)등의 9점과 보물로 지정된 <백자박산향로>(238호), <청화백자철사진사국화문병>(376호), <금보>(283호), <금동여래입상>(284호), <금동보살입상>(285호), <청자상감포도동자문매병>((286호), <분청박지화문병>(287호), <분청사기모란문반합>(348호), <청자상감모자합>(349호), <청화백자철사진사국화문병>(241호), <괴산 외사리 석조부조>(579호), (전 문경오층석탑>(580호) 등 12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1974년 5월12일에 지방 유형문화재로 지정한 <삼층석탑>(28호), <석조팔각부도>(29호), <석조미륵불입상>(30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31호) 등 4점이 정원에 각각 세워져 있습니다.
전시회는 1971년 10월부터 매년 2회 5월과 10월에 소장문화재를 전시하고 있으며,
전시회 개최시에 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한『간송문화』라는 도록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주차시설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서울 도심 한복판에 있는 미술관이지만, 대지가 4,000평으로 도시속에 있다고 믿을 수 없을 만큼 주위가 한적하고 조용하여
문화재를 감상하기 좋은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97-1
가는방법 : 지하철 4호선 한성대 입구역 하차, 도보로 10분.
이용시간 : 매년 5월/10월 10시~18시
전화문의 : 02) 762-0442
5월 봄 전시는 5월 12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되었고, 10월에 있는 가을 전시회는 현재 미정이지만 보통 10월 중순부터 2주간 진행된답니다.
다음달 쯤이면 전시가 시작될 것 같네요.
저도 10월이나 11월에 한국에 귀국 예정인데, 날짜가 맞는다면 꼭 한번 들러보고 싶네요!
■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아래 손가락 한번 눌러주세요~ ■
'이슈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웃긴글】장난도 못치는 답답한 연인! (0) 2013.09.16 【유래】이발소 봉의 삼선의 의미와 유래!? (6) 2013.09.15 【애플】너무 심플해서 더 매력적인 애플의 광고 (0) 2013.09.06 【국기】재미있는 여러나라의 국기 이야기, 그리고 태극기와 한반도기 (0) 2013.08.04 【잡담】카카오 스토리의 변덕? 오류? (0) 2013.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