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드센스】구글 애드센스 용어 정리(CPC,CTR, RPM)TIP&정보/블로그 운영 2014. 2. 23. 08:00
구글 애드센스 용어 모음 정리(CPC,CTR, RPM)
티스토리 블로그와 같은 블로그나 개인 사이트를 운영하시면 광고 수익을 위한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를 많이 사용하실거에요.
제 블로그에도 한 페이지당 평균 3개 정도의 구글 광고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구글에서는 광고의 수익 리포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리포트를 사용하면 어떤 페이지, 어떤 광고, 어떤 식으로 수익이 발생했는지 확인, 검토가 가능한데요,
일부 용어들이 너무 어려워서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구글 애드센스 용어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 예상수입
실제 방문자에 의한 광고 클릭으로 발생된 예상 수익량입니다.
예상 수입 = 클릭수 x CPC
보통은 예상 수입과 실 수령금에 크게 차이가 없지만, 부정클릭이라거나 카운팅 오류 등에 의해 클릭이 무효처리가 되거나 환율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환율은 미화를 기준으로 광고 게재 시 환율(광고주 통화를 미화로)과 일일 환율(미화를 게시자 통화로)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환율이 크게 변동되는 경우는 적기 때문에, 그 차이는 미비하겠죠? 예상 수입과 실 수령금이 큰 차이가 난다면 그건 무효 클릭 처리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상 수입의 계산 식에 있는 클릭수와 CPC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할께요.
ⓑ 페이지뷰 (Page View)
페이지뷰에서는 방문자가 내 블로그에서 얼만큼의 페이지를 방문했는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즉, 방문자 수가 아니라 페이지 열람수가 됩니다. 1개의 페이지만 보고 나가는 방문자가 있는가하면, 다른 여러 포스팅도 읽어주시는 분들이 계신데요,
동일한 방문자라고 하더라도 열람한 페이지 수가 카운트됩니다. 또, 광고수와는 상관없이 페이지를 열람한 숫자이라는 점 기억해주세요!
예를들어 1명의 방문자가 광고 3개가 실린 포스트를 3군데 열람했다면, 페이지뷰는 3이 카운트됩니다.
ⓒ 클릭수 (Click Counter)
클릭수는 광고를 클릭한 숫자를 가리킵니다. 즉, 몇번의 광고가 클릭됐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는 클릭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므로, 클릭수는 수익과 직결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클릭수에서는 단순하게 클릭이 발생한 횟수만을 안내해주고 있으며, 좀더 구체적이고 도움이 되는 정보는 아래 CTR에서 살펴보겠습니다.
ⓓ 페이지 광고 클릭률(CTR)
페이지 광고 클릭률인 CTR은 광고 클릭수를 페이지 조회수로 나눈 값입니다. 즉, 노출에 따른 평균 클릭수를 계산한 겁니다. 아주 중요해요~
페이지 CTR = 클릭수/ 페이지 조회수
예를 들어 페이지 조회수가 250회이고 클릭이 2번 발생한 경우 광고 단위 CTR는 0.8%입니다. (2/250=0.8%)
CTR 정보는 광고 노출에 아주 중요한 정보중에 하나입니다.
CTR이 지나치게 낮다면 여러번 광고가 노출됐지만, 방문자에게 클릭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되죠.
따라서 이럴 경우엔 광고 위치, 광고 크기, 광고 방식 등이 잘못됐다는 판단을 할 수 있으며 수정을 해 주는게 좋습니다.
평균적으로 0.4~0.7% 정도이고, 잘 꾸며진 블로그나 사이트에서는 1% 이상이 나온다고 합니다. 또, 국가나 지역마다 다르기도 하구요.
상대적으로 한국인들은 한국의 웹 사이트에 광고 게제가 많아 광고 클릭에 대한 거부감이 있어 클릭율이 상당히 낮은 편이라고 합니다.
ⓔ CPC (Cost Per Click) : 클릭당 광고 단가
CPC(클릭당비용)은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게시자가 벌어들이는 금액입니다. 즉, 광고 클릭 1개당 금액입니다.
이 금액은 무척 가변적이라는게 특징입니다. 광고의 CPC는 전적으로 광고주가 정하는 것이며, 광고하는 제품에 따라 광고주가 클릭당 지불하려는 금액이 달라집니다.
예를들어, 고급 외제차 광고의 경우에는 제품의 단가가 크기 때문에 보통 광고 단가도 높지만, 무료 이벤트나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광고 단가가 낮은게 보통입니다.
또, 광고 중에는 동영상이나 이미지, 텍스트 등이 있는데 각각 광고 효율이 다르기 때문에 구글이나 광고주에서 요구하고 지불하는 금액에 차이가 있겠죠?
다른 말로 TV 광고와 전단지 광고의 차이, 인기 프로그램 광고와 비인기 프로그램 광고의 차이 등으로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당연히 효율이 좋은 광고일 수록 광고 단가는 높아지겠습니다. (보통은 동영상 > 플래쉬 > 이미지 > 텍스트)
또, 보통은 광고 사이즈가 큰 경우에 단가 또한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만 반드시 그렇지만도 않기 때문에 너무 큰 광고만 고집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CPC는 저희가 결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또 CPC가 높은 광고만 노출할 수도 없기 때문에 이 값은 어디까지나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다른 수익 프로그램에서는 PPC(Pay Per Click)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 페이지 RPM(Page RPM) : 1000회당 노출당 수익
페이지 RPM은 페이지 노출당 수익입니다. 구글 애드센스의 경우에는 1000회 노출동안 발생한 평균 수익을 알려줍니다.
위에서 나온 CTR 과 비슷한 개념이면서 굉장히 중요한 정보 중에 하나랍니다.
처음에 저는 페이지가 1000번 노출되면 클릭이 없어도 이 금액이 발생하는 줄 알고, 수시로 변동이 되길래 '뭐지? 왜이러지?' 하고 걱정했던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클릭이 발생한 수입의 평균치를 보여주는 것 뿐이라는 거 기억해주세요.
구체적인 수식은 예상 수입을 페이지 조회수로 나눈 다음 1,000을 곱한 값입니다.
페이지 RPM = (예상 수입 / 페이지 조회수) * 1000
예를들어, 100회 페이지 노출이 있었고 클릭 5번이 있었고, 그로인해 예상수입이 천원이 되었다면, RPM은 만원이 되겠죠? (1000/100*1000 = 10000)
간단히 말해, CTR이 노출당 클릭율을 보여줬다면, RPM은 노출당 수익량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용어 정리 및 간단한 설명을 해봤는데요, 조금 이해가 되셨나요?
용어 정말 어려워서 저도 처음에 무척 고생했어요 ㅠ
그럼 이렇게 많은 항목 중에서 우리가 주목해야할 것들은 어떤게 있을까요?
잘 읽어보신 분이라면 알고 계시겠지만, 딱 세가지만 꼽아볼께요.
ⓐ 페이지뷰 : 높으면 블로그의 컨텐츠가 좋다는 의미.
낮으면 블로그의 질과 양을 높이고, 좀 더 홍보가 필요함ⓑ CRT : 높으면 노출 광고가 적절함,
낮으면 광고 위치나 크기, 방식 등의 수정이 필요함. (사이트 유입 검색어 등도 확인)ⓒ RPM : 높으면 광고가 적절, 낮으면 광고 수정이 필요
(단, CTR은 높은데 RPM이 낮다면 포스팅 내용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음)위의 ⓒ 설명을 더 보태자면, CTR이 좋지만 RPM이 낮다는 것은 풀어말하면,
'광고 클릭은 발생하지만 수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는 말이됩니다.
즉, 예상 수입에 영향을 주는 또하나의 값 CPC 광고 단가가 낮다는 의미겠죠? 광고는 클릭되지만 단가가 낮은 광고만 클릭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CPC는 우리가 정하는게 아니라 광고주나 구글에 의해 결정된다고 했는데 무엇이 문제일까요?
CPC에서 잠깐 설명한 것처럼 포스팅 및 사이트에서 공개되는 정보가 단가가 낮은 내용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방문자는 어떤 검색어나 관심사를 가진 특정 유저가 내 블로그에 방문하게 되는데, 애드센스 광고는 방문자에 맞춰 광고가 됩니다.
예를들어, 자동차에 관련된 사이트라면 방문자에게 주로 보여지는 광고도 자동차 관련광고겠죠?
반대로, 무료 프로그램에 관련된 글이라면 무료에 관한 광고가 많이 노출되고 단가도 낮은 경우가 많겠죠? ※ 이건 어디까지나 예일 뿐입니다. 단가는 광고마다 달라요
하지만, 자신의 광고 수익을 위해 블로그의 성격을 바꾼다면 주객전도가 되겠죠? 잘못할 경우에는 기존에 있던 구독자까지 잃을 수도 있으니 너무 집착하진 마세요.
또 다른 방법으로는, 광고 크기에도 약간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페이지에 노출되는 광고 크기를 조금 더 키워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수익을 위한 블로그' 가 아닌 '블로그 운영'이 목적으로 부수 수익을 목적인 경우에는
ⓐ 페이지뷰를 통한 컨텐츠의 질과 홍보를, ⓑ CRT로 노출 광고 위치 및 크기 방식만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위 두가지 항목으로 블로그를 분석하시고, 나머지 항목들은 그냥 참고만 하시면 좋겠어요. 있는 기능은 제대로 활용하는게 좋잖아요~ ^^
이렇게 길게 쓸 생각은 아니었는데 뭔가 설명을 하다보니 점점 길어져 버렸네요....
오늘은 이정도만 하고 앞으로도 구글 애드센스 사용법에 대한 글은 추가로 올릴께요. 모두 즐거운 블로그 되세요~~
'TIP&정보 > 블로그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수익 광고를 애드센스에서 스폰서애드/리얼클릭으로 변경 (2) 2014.03.02 【애드센스】티스토리 블로그, 본문 상단 구글 광고 넣기 (2) 2014.02.27 【블로그】티스토리 인기글/최신글 페이지 하단에 추가하기 (8) 2014.02.16 【올블릿】티스토리 블로그, 수익 광고 올블릿 설치 방법 (10) 2014.02.09 【티에디션】티스토리 블로그 메인 꾸미기 (0) 2014.02.03 댓글